-
Branch에 대해Fast-campus/Git과 Github 2022. 12. 16. 22:34
Branch 기초
Git에는 branch라는 분기점을 만드는 기능이 있습니다.
Git은 단순히 자료를 저장해놓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을 기록해 놓는 기능으로도 사용을 하는데
만약 Master branch에서 작업을 하던 코드들이 있을 때 현재 작업 중인 내용을 유지하면서, 파일과 커밋 기록을 별도로 관리하고자 할 때, 브랜치를 분기하여 기록을 합니다
더보기Branch commit commit 기록 Master commit1 commit2 commit3 commit4 commit1
commit2
commit3
commit4Develop ↘ commit5 commit1
commit2
commit3
commit5Branch 사용
Terminal에서 현재 생성되어 있는 branch의 종류를 보기 위해서는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.
git branch --list
branch를 추가하지 않고 Marster branch의 이름을 변경하지 않으셨다면 아래처럼 Terminal에 나타납니다.
$ git branch --list * main
branch를 추가하기 위한 명령어는 밑에 2가지 명령어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입력하시면 되구요
1. git branch 만들고자하는 브렌치명 ex) git branch develop 2. git switch -c 만들고자하는 브렌치명 ex) git switch -c develop
1번의 경우는 브렌치를 만들기만 하는 명령어이고,
2번의 경우는 브렌치를 만들고 바로 만들어진 브렌치로 이동하는 명령어 입니다.
여기서 switch가 먼저 나왔는데
git switch 이동하고자 하는 브렌치명
을 입력하시면 브렌치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!
이 전 포스팅에서 설명하지 않은 명령어가 있는데 commit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가 있습니다.
바로 git log를 사용하시면 되는데 이 명령어를 사용했을 때 아래의 사진과 같이
Terminal에서 git log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위 사진과 비슷한 내용이 나타날겁니다. 나가는 방법은 q를 누르시면 되구요! 그런데 저희는 간단하게 보고싶을 때가 더 많을 것 같아서 간단하게 볼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바로 [ git log --oneline ] 을 입력하시면
git log --oneline 이렇게 간단하게 나와서 편하게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!
'Fast-campus > Git과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과 Github의 차이 및 사용 (0) 2022.12.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