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Git과 Github의 차이 및 사용Fast-campus/Git과 Github 2022. 12. 14. 22:45
Git 이 단순히 버전을 기록하고, 관리하는 도구
- - git 설치 mac
터미널에 아래의 명령어 입력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\
위 명령어의 경우 Homebrew를 설치하기 위한 명령어 입니다. 간단하게 git을 사용하기 위해 맥OS용 패키지 관리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!
echo 'eval "$(/opt/homebrew/bin/brew shellenv)"' >> /Users/(유저명)/.zprofile
유저명은 본인의 유저이름 작성하면 됩니다! 저의 경우는 /Users/bora/.zprofile
eval "$(/opt/homebrew/bin/brew shellenv)"
후에 터미널 재실행
git --version 명령어 입력해서 git version확인하여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
- git 사용 기초
- 본인이 git을 사용하여 관리하고 싶은 폴더를 터미널 내에서 들어가면 됩니다.
- git init 명령어로 해당 폴더를 git으로 관리하는 폴더로 만들어주시고,
- 폴더 내에 임의의 파일을 작성하고 git add 파일이름 ex) git add hello.txt 명령어 입력해주시면 됩니다.
- 이제 git commit 명령어를 사용하여 버전 기록을 하면 됩니다. git commit -m "커밋메세지" ex) git commit -m "Feat: Add hello.txt"
여기까지가 git 사용하는 기초 내용입니다.
Github 는 이 기록들을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고, 보관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
git에서 관리하는 폴더를 Github로 올려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- Github 계정 가입
- Github 계정 내에서 repository 생성하시면 저장소 url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이제 터미널로 오셔서 git remote add origin (github repository 주소) 명령어를 입력해주시면 git으로 관리하는 폴더를 github에서 생성한 repsitory에 연결이 완료 되어있는 상태입니다.
- 이제 폴더에 있는 파일들을 Github로 업로드 하기 위해서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Github 이메일" 명령어로 설정을 해주시고
- 터미널에서 폴더를 선택하고 add/commit을 한 후에 git push origin (branch name)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끝입니다~
- **branch name의 경우 아직 설정하신 내용이 없다면 git push origin marster를 입력하시면 돼요!
Git 사용 명령어 정리
git init === 해당 폴더를 git으로 관리하기 위한 명령어
git add 파일명 === 폴더 내에서 어떤 파일을 관리하고자 하는지를 지정해줘야 합니다. ** 주의 사항 : 수정하고자 하는 파일이 저장이 됐는지 확인하셔야 하고, 파일 내 내용이 변경된 점이 있는지 확인하셔야합니다!
git commit -m "커밋메세지" === 현재 파일들을 하나의 버전으로서 기록(저장)하기 위한 명령어
git push origin 브랜치이름 === 깃허브 저장소에 add , commit 한 내용을 올리기 위한 명령어
'Fast-campus > Git과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ranch에 대해 (0) 2022.12.16